스토리텔링 아카데미의 커리큘럼
스토리텔링 아카데미의 커리큘럼은 콘텐츠 창작자 및 작가들이 독창적이고 풍성하며 흥미진진한 스토리를 창작할 수 있도록 돕는 강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토리텔링 아카데미의 커리큘럼은 <소재>와 <스토리텔링>으로 구성됩니다.
소재
스토리텔링 아카데미 커리큘럼의 핵심으로 세계, 인간, 모티프의 세가지 파트로 구성됩니다.
소재 part 1 – 세계
작중 세계의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시스템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거시적 관점의 이야기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 강좌의 주제는 신화와 동서양 각시대의 역사를 포괄합니다.
– 신화와 전설: 한국, 중국, 일본, 그리스, 북유럽, 인도, 동남아시아의 신화와 전설, 민담 등
– 역사: 동서양 각국의 역사 개관, 시대별 역사 개관, 역사적 사건들(세계대전, 혁명 등) 개관
그리스 신화 개관, 북유럽 신화 <에다> 개관, 중국의 신화들, 한국의 민담과 전설, 조선 영정조 시대, 18세기 프랑스, 산업혁명기의 독일,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 십자군전쟁, 30년전쟁, 전국시대의 중국, 조선말기의 정치외교, 일제강점기 저항의 역사, 1차 세계대전, 한국전쟁과 분단,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의 관계, 냉전시대 동독과 서독의 관계 등등
소재 part 2 – 인간
생생하고 매력적이고 입체적인 인물과 흥미진진한 인간 사이의 관계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강좌의 주제는 성격유형, 심리, 문학과 역사 속의 다양한 인간 관계 및 갈등의 사례 등을 포괄합니다.
신화/역사/문학 속 영웅/악인/조력자들, 인간의 심리,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기초, 우울증, 멜랑콜리,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 신화/역사/문학 속 사랑/짝사랑/갈등/복수, 일상 시리즈(의사의 일상, 수의사의 일상, 고고학자의 일상, 방송 PD의 일상, 대기업 임원의 일상, 연극배우의 일상 등) 등
소재 part 3 – 모티프
스토리와 사건의 뼈대를 결정하는 핵심적 요소로 사용될 수도 있고, 작중 세계와 사건들을 보다 풍성하고 완성도 높게 만들어주는 디테일로도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모티프들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역사, 문학, 예술, 과학, 기술 등 상상가능한 모든 영역을 포괄합니다.
정치적 계략들, 외교적 갈등들, 귀족의 역사, 여성의 역사, 반란의 역사, 무기의 역사, 전술의 역사, 근대의 의학, 18세기의 경제체제, 기사도, 19세기 유럽 살롱문화, 바로크 예술, 낭만주의 예술, 한국 개화기의 문화, 신화/역사/문학 속 괴물들, 타임머신, 평행우주, 인공지능, 탈 것의 역사, 로봇의 역사 등
스토리텔링
흥미로운 스토리 전달을 위한 전략을 만들고자 할 때, “필력”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는 강좌들로 구성됩니다. 내러티브 이론, 스토리 유형론, 네임드 작가의 스토리 창작 경험을 직접 들어볼 수 있는 작가 특강 등으로 구성됩니다.
내러티브의 이해, 영웅이야기의 구조, 멜로드라마의 구조, 공포 스토리의 구조, 추리 스토리의 구조, 환상성의 조건들, 역사 소재의 활용, 희곡의 기본구조, 성공한 스토리의 구조 분석 시리즈, 창작자를 위한 ‘AI의 이해’, 작가 특강 등
* 위에 제시된 주제들은 향후 개설될 강좌들에 대한 예시입니다. 스토리텔링 아카데미 1기는 12개의 강좌로 시작되며, 강좌의 수와 주제의 범위는 계속 확장될 예정입니다.